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흰 다리새우의 축제식 양성
    흰다리새우양식 표준 매뉴얼 2023. 1. 13. 17:44
    반응형

    1) 종자 방양 전 준비

    가) 못 준비

    흰 다리새우 양식의 적지는 양식 못이 인접 수원과 밀접하고, 충분한 수량과 수질이 양호하며 새우에 유해한 물질이 없고, 배수가 편리한 곳이어야 한다. 바닥은 배수구에 평평하고 경사가 있어 배수에 편리하여야 한다. 못 바닥은 진흙은 10cm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못에는 완벽한 배수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 주수구에는 1.5~2cm의 시브 필터백을 장착한다. 배수구에는 야생의 어류가 양식 못에 유입되지 않도록 그물 덮개를 설치한다.

    호지의 건조는 저질의 정상화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호지의 바닥에는 완전히 산화된 물질, 암모니아, 질산염, 황화수소 등 독성물질이 잔재해 있다. 일광소독은 저질의 유독성 물질과 저질의 무익한 곰팡이, 세균 등을 없애는 환경친화적인 소독방법으로 건조기간은 화창한 날을 기준으로 3~4주가 적당하다.

    나) 못 소독

    (1) 생석회

    생석회는 못 속의 어류를 죽일 수 있으며, 양식장 바닥 소독 및 바닥의 토양 pH가 3.5~5.0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 사용한다. 생석회 청소 못의 약성은 일반적으로 5~7일 사이에 사라지며, 물은 방양 전에 검사해야 한다.

     

    (2) 표백분

    소석회 분말에 염소 가스를 흡수시켜 만든 백색 분말로 주로 수용액으로 만들어 살균이나 표백에 사용한다. 차아염소산소다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표백분이 훨씬 안정적이다. 사용 시 주의할 점은 용해된 표백분은 금속 용기의 사용을 금하고, 액체가 피부와 옷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며, 생석회와 함께 사용하면 안 된다.

    2) 수질조건 및 관리

    가) 수질 조건

    (1) 수온

    수온은 수면 아래 10~30cm에서 측정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장 가능한 기간이 대하에 비해 비교적 짧다. 그러나 성장은 대하에 비해 빨라 75일 만에 체중 20g으로 성장한 경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3개월이면 20g까지 기를 수 있어 수확에서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염분

    염분 농도는 새우의 맛에도 영향을 주는데 저염분보다 고염분에서 사육할 경우가 근육 내 아미노산량이 많아 좋은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염분에서 양성된 새우는 출하 전에 고염분에 순차 하는 것이 질을 향상하기도 한다. 저염분 및 담수에서도 양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 내수면 양식품종으로 선호되기도 한다. 

     

    (3) PH

    ph가 7보다 낮으면 흰 다리새우의 활력이 감소한다. 흰다리새우의 pH에 대한 적응 범위는 7.3~8.6이다.

    나) 수질 관리

    용존 산소는 새벽 전후로 가장 낮아지며, 흐린 날에는 광합성이 강하지 않으므로 아침부터 산소 발생기를 가동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우가 산소 부족으로 수면에 머리를 내미는 현상이 쉽게 생긴다. 새우가 자란 후에는 못의 용존 산소가 5mg/L 이상이고 못 바닥의 용존 산소가 3mg/L 이상이 되도록 산소 공급 장치의 가동 시간을 점차적으로 늘려야 한다. 사육지의 용존 산소를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하단 포기 장치를 해야 한다.

    다) 일상관리

    만약 새우가 낯선 행동을 하고 있거나 죽은 새우가 발견되었을 때는 즉시 육안검사 및 정밀검사를 하여 원인을 분석해야 하며 호지의 바닥, 중앙 부분, 수차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정밀 관찰을 한다.  

    새우의 체장 및 체중을 규칙적으로 측정하고 성장 상황을 파악하여 성장 및 수질 등의 기본 조건에 따라 먹이양을 조절하여 먹이 부족 또는 낭비를 피한다.

    못의 순찰은 이른 아침과 해 질 녘에 먹이 섭취, 활동 상황 및 용존산소 변화를 관찰하고 양식 일지를 작성하여 시의적절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비정상 상황을 발견하여야 한다.

    3) 종자의 선택과 입식 밀도

    종자는 아침이나 저녁에 입식해야 하며, 낮에 햇볕이 내리쬘 때에나 비가 오는 날에는 입식을 하지 않아야 한다. 성공적인 새우 양식을 위해서는 고품질의 새우를 선택해야 한다. 새우의 크기는 균일하며 부속 지는 깨끗하고 완전해야 한다. 첫 번째 안테나는 서로 가깝고, 복부 부분은 길며, 미선은 펼쳐져 있고, 근육은 가득 차고 물에 맞서 수영하는 동안 명백한 방향성이 있어야 한다.

     

    4) 사료 공급

    현재의 새우 양식에서는 사료 회사에서 판매하는 배합사료를 사용하고 있다. 단백질 원료로 어분, 대두박, 오징어 간 분 등을, 탄수화물 원료로 소맥분이나 전분 등을 사용하고, 지질원으로는 어유나 대두유 등을 사용하여 배합사료를 제조한다. 또한 새우용 배합사료 제조 시에 섭이 촉진 물질 등 첨가제를 보충하는데, 첨가제는 대상 동물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한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