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흰다리새우의 생물학적 특성과 새우양식의 장단점
    흰다리새우양식 표준 매뉴얼 2023. 1. 9. 15:4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흰 다리새우의 생물학적 특성을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려고 합니다.

    1. 서식 및 분포

    흰다리새우의 자연 서식지는 연중 수온이 일반적으로 20도씨 이상인 멕시코의  Sonora에서 페루의 Tumbes에 이르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태평양 동부 연안의 열대 해역이다. 흰 다리새우의 대부분은 해안 가까이의 연안 해역에 살고 있으며, 치하는 강어귀에서 먹이를 찾아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일반적으로 낮 동안에는 해저의 바닥에 머물고 있으며 야간에 왕성하게 활동한다.

    2. 형태적 특징

    형태 및 색깔을 대하와 매우 유사하여 구분이 다소 어렵지만 이마뿔이 대하에 비해 아주 짧아 흰 대리새우의 이마뿔은 제2촉각의 두 번째 마디를 훨씬 넘는다. 수컷의 생식보조기인 교미기는 좌우상칭이며 반쯤 열려 있다. 성숙한 암컷은 개방된 생식보조기로써 교접 기를 가지고 있다. 성숙한 암컷의 경우 생식소의 색깔이 핑크색 계통의 붉은색을 띠므로 대하의 암녹색과 구분이 가능하다.

    3. 생태학적 특성

    암컷과 수컷은 산란 후 6~7개월이 경과되어 체중이 각각 28g 및 20g이 되었을때 성숙한다. 노플리우스기에서는 먹이를 전혀 먹지 않고 영양은 난황에 의존하며 2일간 지속한 후 4~5일간 조에아 단계, 3~4일간 미시즈 단계를 거쳐 후기 유생으로 탈피한다. 연안에서 몇 개월 성장 후에 다시 성숙을 위해 외해로 이동한다. 부화와 초기 유생 발생은 약간 외해에서 진행되며 후기 유생이 되면 내해로 이동하여 저서 생활을 한다.

     

    다음 주제는 흰대리새우 양식의 장단점입니다.

    장점 1

    흰 다리새우는 흰반점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지만 현재 아시아에서는 이 바이러스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홍다리얼룩새우보다 생존율이 더 높다. 흰다리새우는 다른 양식 새우류에 비하여 산란용 어미새우로부터 전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차단할 수 있는 무병종자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질병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염도에서도 양식이 가능하므로 해안 지방에 국한된 양식이 아닌 산간, 내륙 지역에서도 양식 할 수 있어 바이러스의 중간 숙주로부터 수평 감염을 사전 예방할 수 있다. 

    장점 2 

    흰다리새우는 생존력과 적응력이 강하다. 기타 암모니아와 아질산염 독성에 대한 더 나은 내성을 가지며, 용존 산소 역치는 1.2ml/L으로 집약적인 대량 생산에 우수한 내성이 있다.

    장점 3

    흰 다리새우는 성장 기간 동안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양식 어종 중 성장이 가장 빠르다. 양식장에서의 성장률은 매우 높아 종자 입식 후 70~100일 양식에 20g까지는 매우 빨리 성장하지만 20g을 초과하면 성장속도가 1g/주까지 느려질 수 있다.

    장점 4

    흰 다리새우는 주로 동물성 먹이를 기본으로 하는 잡식성 새우로 타 양식 종에 비하여 호지 내 또는 집약식 양식에서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 먹이를 비교적 잘 먹는다. 

    장점 5

    흰 다리새우는 염분에 대한 내성이 강하여 연안 및 내륙 지역의 담수 양식에 적합하다. 담수에서 흰 다리새우의 양식은 다른 담수 양식 종에 비해 높은 이익 와 연간 지역보다 내륙에서의 토지 이용 가능성이 높아 중국, 태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에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장점 6

    흰 다리새우는 유생의 생존율이 높고, 작은 크기에서 방양할 수 있으며, 성장률이 빠르고 일정하다. 높은 방양밀도에 대한 내성이 커서 호지 양식에서 일반적으로 60~150 마리/m2의 높은 입식 밀도에서 , 그리고 통제된 재순환식 수조 양식에서는 400 마리/m2 정도의 매우 높은 밀도에서 조차도 양식이 가능하다. 흰다리새우는 대하에 비하여 공식률이 낮아 육상수조 양식이 가능하며, 평당 20kg 이상의 생산이 가능한 고밀도 양식 어종이다.

    장점 7 

    흰 다리새우는 번식 주기가 길고 적절한 환경에서 종자 생산은 주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화장에서의 생존율이 홍다리얼룩새우의 20~30%에 비해 50~60%로 더욱 높다. 일반적으로 홍다리얼룩새우보다 맛이 좋기 때문에 미국시장에서 선호된다.

     

     

    양식의 단점

    흰다리 새우는 아시아에서 외래종으로, 치하나 종자생산을 위한 어미새우의 수입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도입과 토착 새우종의 감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으로 수입과정에서 질병검역을 철저히 하여 외래 바이러스 도입을 차단하여야 한다. 흰다리새우는 인공 산란이 홍다리얼룩새우보다 용이하나 대하만큼은 용이하지 않다. 

     

    +) 흰 다리새우에 대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자

    흰 다리새우의 최대 몸길이는 230mm이며 갑각은 90mm이다. 성체는 수심 72m, 새끼는 어귀에서 산다.

    필수아미노산과 칼슘이 풍부한 흰다리새우 드시고 맛도 챙기고 건강에도 좋다. 어린이들의 골격성장과 여성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 '대하'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되는 새우의 상당수는 흰 다리새우다. 특히 대하는 잡은 다음날이면 죽어버리기 때문에 산 채로 유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데, 흰 다리새우는 애초에 양식이라 산 채로 유통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국 각지로 대하의 이름을 내걸고 판매되고 있다. 대하 축제 등 살아있는 대하를 파는 현장에서 역시 살아있는 새우는 대부분 흰 다리새우라고 봐도 좋다. 대하 양식이 흰점 바이러스에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이후 거의 모든 양식 업체들이 흰 다리새우로 갈아타며 양식 새우 생산량 1위로 치고 올라왔다. 흰점 바이러스에 약한 건 대하와 별 차이가 없지만 흰 다리새우는 염도가 낮은 물에 적응하는 능력이 더욱 강해서 대하에 비해 양식에 적절하기 때문.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하와이에서 개체를 도입하여 양식하고 있다. 대하에 비해서 상당히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맛 역시 대하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둘을 비교해 먹어보면 살의 맛 차이는 거의 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