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산물 마케팅
    카테고리 없음 2023. 1. 13. 20:08
    반응형

    수산업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수산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활동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수산물을 많이 생산한다고 해서 이익이 반드시 많아지는 것이 아니며, 생산량이 적더라도 효율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많은 이익을 남길 수도 있다. 결국, 자기가 영위하는 수산업이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판매 문제를 고려하여 생산 활동을 하도록 하고, 생산된 수산물에 대해서는 적절한 마케팅 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수산물 마케팅의 뜻을 알아보고, 또 수산물 마케팅 활동과 수산물 시장 및 수산물 무역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수산물 마케팅의 뜻

    수산물 마케팅이란, 수산물 생산자 또는 수산물 판매자가 수산물을 판매함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으로 수산물을 판매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또 수산물의 원활한 판매를 위해서 수산물의 생산 영역까지도 관여하는 적극적인 활동을 뜻한다.

    과거에는 수산물이 생산되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판매가 이루어져 왔으나, 오늘날에는 소비자가 많이 찾고, 또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어종이 어떤 것인지를 미리 파악하여 이러한 수산물을 계획적으로 생산, 판매하는 마케팅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2. 수산물 마케팅의 중요성

    최근 수산물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어업자 또는 중간 상인이 판매할 수 있는 수산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어 판매 수익을 올리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적은 생산량으로 일정한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판매 비용을 절감하면서 수산물의 경제적인 가치를 높이고, 최대한 높은 가격으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수산물은 단순한 반찬거리가 아니라 건강식품 및 기호 식품으로 소비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수산물은 각종 병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식품이고,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어 기호 식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소비자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또 선도를 잘 관리하여 항상 위생적인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구매를 쉽게 하기 위해서 상표화, 포장화, 등급화, 규격화 등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3. 수산물 마케팅의 특징

    수산물은 일반 상품과 비교할 때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거래할 때 시간적, 수량적 제한을 받는다. 수산물은 부패성이 강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어려워 신속하게 거래해야 하고 생산자가 계획한 대로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때에 따라 과잉 생산 또는 과소 생산으로 거래에 제한을 받는다.

    둘째, 생산물의 이용 형태가 다양하다. 수산물의 생산이 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어정도 해역별로 분산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생산자가 전국의 해안을 따라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셋 째, 품질과 규격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공산품은 대부분 규격과 품질 상태가 일정하게 등급별로 정해져 있으며, 농산물도 수산물보다는 상품 규격과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비교적 쉽다. 그러나 수산물의 경우는 생산자의 생산 계획대로 생산이 되지 않고, 더욱이 다양한 종류의 수산물이 생산되므로 동일한 어종이라 하더라도 같은 크기, 같은 품질 수준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넷째, 가격의 변동이 심하다. 일반 공산품은 시장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수산물의 경우는 생산의 불확실성, 강한 부패성으로 인하여 가격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1회의 구매량이 소량이다. 수산물은 강한 부패성이 있어서 오래 저장해 놓고 먹을 수가 없기 때문에 소비자는 조금씩 자주 사 먹게 된다.

     

    수산물 마케팅 활동에는 생산(판매) 품목의 결정, 가격의 결정, 판매 경로의 결정, 촉진 수단의 결정 등이 포함된다.

    수산물 생산에서는 생산 품목은 사용하고 있는 어구에 따라 생산량이 다르게 정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어구라 할지라도 잡고 싶은 어종과 양을 어획한다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수산물 판매자가 어획물을 수협에 위탁 판매할 경우에는 어획물에 대한 가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없으나, 자유 판매의 경우에는 수산물 판매자 스스로 판매 가격을 결정하여야 한다. 특히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품질 수준과 시장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